글귀와의 만남 제목삼별초가 끝까지 저항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과 싸움을 같이 해나가고 후방에서 지원한 민중의 힘 때문이었다. 바로 그런 민중의 저항의지 때문에 '삼별초 항쟁'이란 이름의 반외세 민중항쟁이 위대했던 것이다. - 최용범, <<하룻밤에 읽는 한국사>> 中2025-05-20 20:13작성자김진영삼별초 항쟁은 위대한 것이었다. 하지만 결코 지배층 내부의 정쟁에서 패한 뒤 보복이 두려워 봉기했던 삼별초가 위대했던 것은 아니다. 삼별초가 끝까지 저항할 수 있었던 것은 그들과 싸움을 같이 해나가고 후방에서 지원한 민중의 힘 때문이었다. 바로 그런 민중의 저항의지 때문에 '삼별초 항쟁'이란 이름의 반외세 민중항쟁이 위대했던 것이다. - 최용범, <<하룻밤에 읽는 한국사>> 中신고하기 인쇄목록글쓰기 댓글 [0]댓글작성자(*)비밀번호(*)자동등록방지(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)내용(*) 댓글 등록더보기이전일각에서는 외국어에서 온 표현이니 쓰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는데, 한국어 이용자가 수억 명 정도 된다면 모를까 기껏해야 1억 명도 안 되는 현실에서 언어 순혈주의를 고집하다가는 자칫 고립을 자초할 수도 있다. 외국어에서 온 표현이라도 더 다채로운 한국어 표현을 위해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려 장려해야 하지 않을까. - 김정선, 『내 문장이 그렇게 이상한가요?』 中김진영2025-06-28다음'최초의 금속활자' 논쟁에서 시각을 조금 확대해서 보면 우리는 '최초'란 딱지보다 좀더 의미 있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. - 최용범, <<하룻밤에 읽는 한국사>> 中 김진영2025-05-18 Powered by MangBoard